재테크에 관심 있으신 분들이 라면 2022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2022년 기준 중위소득 등 소득자격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오늘은 2022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기준표를 알아보고 상세히 계산하는 방법과 소유하고 있는 자산 기준으로 주택청약 자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2022년 적용)
1인 가구 ~ 4인 가구
구분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
50% | 1,606,057 | 2,422,185 | 3,209,283 | 3,600,405 |
70% | 2,248,479 | 3,391,059 | 4,492,996 | 5,040,566 |
100% | 3,212,113 | 4,844,370 | 6,418,566 | 7,200,809 |
110% | 3,533,324 | 5,328,807 | 7,060,423 | 7,920,889 |
120% | 3,854,536 | 5,813,244 | 7,702,279 | 8,640,971 |
130% | 4,175,747 | 6,297,681 | 8,344,136 | 9,361,052 |
140% | 4,496,958 | 6,782,118 | 8,985,992 | 10,081,133 |
150% | 4,818,170 | 7,266,555 | 9,627,849 | 10,801,214 |
160% | 5,139,381 | 7,750,992 | 10,269,706 | 11,521,294 |
여기까지 1인 가구 ~ 4인 가구의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을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5인 가구 ~ 4인 가구의 월평균소득을 알아보겠습니다.
5인 가구 ~ 8인 가구
구분 | 5인가구 | 6인가구 | 7인가구 | 8인가구 |
---|---|---|---|---|
50% | 3,663,036 | 3,889,913 | 4,116,789 | 4,343,666 |
70% | 5,128,250 | 5,445,878 | 5,763,505 | 6,081,132 |
100% | 7,326,072 | 7,779,825 | 8,233,578 | 8,687,331 |
110% | 8,058,679 | 8,557,808 | 9,056,936 | 9,546,164 |
120% | 8,791,286 | 9,335,790 | 9,880,294 | 10,424,797 |
130% | 9,523,894 | 10,113,773 | 10,703,651 | 11,281,830 |
140% | 10,256,501 | 10,891,775 | 11,527,009 | 12,149,663 |
150% | 10,989,108 | 11,669,738 | 12,350,367 | 13,030,997 |
160% | 11,721,715 | 12,447,720 | 13,173,725 | 13,885,330 |
1인 가구 ~ 8인 가구까지 위 표를 참고하여 자격조건에 부합하는 주택청약 및 공공임대주택에 지원하시면 됩니다.
자신의 소득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모르신다면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주택 청약 자격 (자산기준)
공통 신청자격
-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해당 지역에 거주하며, 본인과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인 세대 구성원
- 아래의 소득 및 자산보유 기준에 해당되는 자
소득 및 자산 보유기준
1. 소득기준
- 상위 항목에 있는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참고
2. 자산 기준
- 부동산자산 기준 : 2억 1500만원 이상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으면 안 됩니다.
- 자동차가액 기준 : 3557만원 이상의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으면 안 됩니다.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자동차가액이 궁금하다면 아래 게시글을 참고하세요
여기까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과 주택청약 지원 시 필요한 자격을 소득과 자산보유 기준으로 나누어서 알아보았습니다. 청약 관련된 내용으로는 일반공급 및 특별공급, 장기전세, 행복주택 등 여러 가지 주제들로 나누어질 수 있습니다. 앞으로 하나씩 정리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함께보면 좋은자료
반응형
'재테크 >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평균소득 (2023년 장기전세 자격) (0) | 2023.03.26 |
---|---|
자동차가액 간편하게 조회하는 방법 (로그인 NO) (1) | 2022.05.05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계산하기 (쉽고 간편한 설명) (0) | 2022.04.25 |
서울시 수도권 대상으로 농촌 여행가는 프로젝트(총 180만원 지원하는 복지제도) (0) | 2022.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