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균소득 정보는 많은데 금액이 달라서 많이 헷갈리시죠??
우리나라에서 장기전세, 행복주택, 청약 등 여러가지 복지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이 필연적입니다.
검색되어지는 정보는 많은데 사람들이 작성해둔 금액은 다 다르고 어느게 맞는지 혼동이 오실텐데요. 정부에서 제공하는 청약시스템의 월평균소득 기준으로 작성되어진 글이니 검증되어진 출처임을 말씀드립니다.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과 비교해보면 5% 상승한정도의 금액입니다. 딱 우리나라 물가상승률과 비슷하게 맞춰서 계산되어진 금액으로 보이고, 매년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할 것 입니다.
2023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은 2022년과 비교해서 얼마나 상승했을지 기준표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중위소득 비율은 50% ~ 180%까지 표기하였고, 가구당 인원은 1인가구 ~ 8인가구까지 상세하게 작성하였으니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2023년)
1인가구 ~ 4인가구
구분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
50% | 1,676,942 | 2,502,688 | 3,359,099 | 3,811,028 |
70% | 2,347,718 | 3,503,763 | 4,702,738 | 5,335,439 |
100% | 3,353,884 | 5,005,376 | 6,718,198 | 7,622,056 |
110% | 3,689,272 | 5,505,913 | 7,390,017 | 8,384,262 |
120% | 4,024,660 | 6,006,451 | 8,061,837 | 9,146,467 |
130% | 4,360,049 | 6,506,988 | 8,733,657 | 9,908,673 |
140% | 4,695,437 | 7,007,526 | 9,405,477 | 10,670,878 |
150% | 5,030,826 | 7,508,064 | 10,077,297 | 11,433,084 |
160% | 5,366,214 | 8,008,601 | 10,749,116 | 12,195,290 |
5인가구 ~ 8인가구
구분 | 5인가구 | 6인가구 | 7인가구 | 8인가구 |
---|---|---|---|---|
50% | 4,020,246 | 4,350,819 | 4,681,393 | 5,011,966 |
70% | 5,628,344 | 6,091,147 | 6,553,950 | 7,016,753 |
100% | 8,040,492 | 8,701,639 | 9,362,786 | 10,023,933 |
110% | 8,844,541 | 9,571,802 | 10,299,064 | 11,026326 |
120% | 10,441,966 | 10,441,966 | 11,235,343 | 12,028,719 |
130% | 10,452,639 | 11,312,130 | 12,171,621 | 13,031112 |
140% | 11,256,688 | 12,182,294 | 13,107,900 | 14,033,506 |
150% | 12,060,738 | 13,052,458 | 14,044,179 | 15,035,899 |
160% | 12,864,787 | 13,922,622 | 14,980,457 | 16,038,292 |
여기까지 1인가구, 2인가구 ~ 8인가구까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을 표로 알아보기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월평균소득을 기준 금액을 더 상승시켜줬으면 좋았겠지만 아쉽습니다.
대기업이나 경력이 많이 쌓이신분들이 아니라면 대부분 청약이나 장기전세 자격에 부합할 것으로 보입니다. 월평균소득을 계산할 때 태아도 가구원수에 포함되니 참고하세요.
2023년 소득 및 자산에 따른 장기전세 자격
신청 자격
- 입주자 모집공고일에 서울특별시에 거주
- 본인과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인 세대구성원으로 소득 및 자산 기준에 부합
단, 단독세대주는 전용면적 40㎡이하만 신청가능하다고 합니다
소득 및 자산 기준
1. 소득 기준
- 상위 기재해드린 전년도 가구당 월평균소득 참고
전용면적 60㎡ 이하 : 전년도 가구당 월평균소득 100% 이하인 가구 대상
전용면적 60㎡ 초과 85㎡ 이하 : 전년도 가구당 월평균소득 120% 이하 가구 대상
전용면적 85㎡ 초과 : 전년도 가구당 월평균소득 150% 이하 가구 대상
2. 자산 기준
- 부동산가액 기준 : 2억 155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으면 안됩니다.
- 해당 세대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부동산(토지 및 건축물) 전체 합산 기준
- 자동차가액 기준 : 3683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으면 안됩니다.
각자 소유하고 있는 자동차가액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게시글에 차량별 자동차 가액 조회를 해볼 수 있는 자료가 있습니다. 참고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세요.
함께보면 좋은글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계산하기 (간단 조회)
'재테크 >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계산 및 청약 자격 (0) | 2022.09.17 |
---|---|
자동차가액 간편하게 조회하는 방법 (로그인 NO) (1) | 2022.05.05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계산하기 (쉽고 간편한 설명) (0) | 2022.04.25 |
서울시 수도권 대상으로 농촌 여행가는 프로젝트(총 180만원 지원하는 복지제도) (0) | 2022.02.24 |
댓글